Tigers in Korean Culture – From Myths to Modern Stories

Last time I wrote about everyday health. Today, I’m turning back to a Korean culture topic: the Dangun myth, a story long passed down to explain the origins of the Korean people. I thought you might enjoy it.
The Dangun myth is a transmitted legend rather than a documented fact, yet it’s vital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identity. In this piece, we will follow the bear and the tiger in Dangun’s founding story and consider what this origin tale has meant for Korea.
Viewed broadly, Korean history moves from Gojoseon to the Three Kingdoms and Unified Silla, and then to Goryeo and Joseon. The Dangun myth recounts the founding of the earliest period, Gojoseon, while the version we know today is preserved in the Goryeo-era anthology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t is more than an old tale. For many Koreans it has taken root as a myth that holds our origins and worldview. Today we read it symbolically rather than literally; even so, as a way for a people to explain their beginnings, the Dangun myth carries deep meaning.
The story opens in the heavenly realm. Hwanin, the Lord of Heaven, had a son named Hwanung who longed to govern the human world. With his father’s permission, Hwanung descended with ministers of wind, rain, and clouds.
He settled beneath the sacred tree on Mount Taebaek, established laws, and began to order the world.
A bear and a tiger came to Hwanung with a plea: “We want to become human.”
Hwanung set a test. He gave them twenty cloves of garlic and a bundle of mugwort and said, “Avoid sunlight for one hundred days and eat only this.”
The tiger quit after only a few days. The bear endured the darkness in silence and, in the end, was transformed into a woman whom people called Ungnyeo.
Even as a human, Ungnyeo remained alone. She prayed for a child, and Hwanung answered by marrying her. Their son was Dangun Wanggeom.
When he came of age, Dangun set his capital at Asadal and founded a nation—regarded as Korea’s first state, Gojoseon. In this way, the Dangun myth came to stand as Korea’s foundational narrative.
The Dangun myth is more than a legend; it has become a symbol that carries Korean identity and values.
Rather than a historical record, the Dangun myth is a cultural narrative that has carried Korean identity and worldview down to the present. From a believer’s perspective, it differs from the truth of salvation, yet it remains valuable f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e diverging choices of the bear and the tiger still speak to the virtues of patience and self-control.
Above all, our ultimate root is not in myth but in God’s Word. Seen in that light, even the Dangun story can serve as a backdrop that helps us reaffirm our faith.
👉 Next story: 🐯 Tigers in Korean Culture – From Myths to Modern Stories (and even Derpy from K-pop Demon Hunters!)
지난 글에서는 일상의 건강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이번에는 다시 한국문화 주제로 시선을 돌려 보려 해요. 한국인의 시작을 설명하는 이야기로, 예전부터 전해지는 단군신화예요. 여러분들이 재밌어하지 않을까 해서 준비해보았어요.
단군신화는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 전승된 이야기지만, 한국 문화와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녀요. 이번 글에서는 단군의 건국 이야기에 등장하는 곰과 호랑이의 선택과 한국의 건국 이야기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역사를 크게 나눠보면 고조선 이후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그다음에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져요. 단군신화는 그 가운데 가장 앞선 시기인 고조선의 건국을 전해주는 이야기인데, 실제 기록은 고려 시대의 《삼국유사》에 실려 있습니다.
단순히 옛이야기로 전해지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에게는 한국인의 뿌리와 세계관을 담은 설화로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어요. 오늘날 우리는 이를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이야기로 이해하고 있지만 한 민족이 스스로의 기원을 설명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단군신화는 큰 의미를 지닙니다.
이야기는 하늘나라에서 시작합니다. 하늘의 신 환인에게는 환웅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그는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 싶어 했대요. 환인은 아들의 뜻을 허락했고, 환웅은 바람·비·구름을 다스리는 신하들과 함께 세상으로 내려왔어요.
그가 자리 잡은 곳은 바로 태백산 신단수 아래였어요. 환웅은 그곳에서 법을 세우고 세상을 다스리기 시작했어요.
곰과 호랑이는 환웅을 찾아와 말했어요.
“저희도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환웅은 시험을 내렸죠. 마늘 20쪽과 쑥 한 줌을 주며 이렇게 말했대요.
“백일 동안 햇빛을 보지 말고 이것만 먹어라.”
호랑이는 참지 못하고 며칠 만에 뛰쳐나갔어요. 하지만 곰은 어두운 동굴 속에서 묵묵히 인내했어요. 마침내 곰은 여인이 되었고, 사람들은 그녀를 웅녀라 불렀어요.
사람이 된 웅녀는 여전히 외로운 삶을 살았어요. 그녀는 아이를 낳게 해 달라고 기도했고, 환웅은 웅녀와 결혼하며 그 소원을 받아들였어요.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 바로 단군 왕검이에요.
단군은 성장해서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웠어요. 이것이 한국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시작으로 전해집니다. 단군신화는 이렇게 한국의 건국 이야기로 자리 잡게 되었어요.
단군신화는 단순한 설화를 넘어, 한국인의 정체성과 가치관을 담은 상징과도 같은 이야기예요.
단군신화는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 한국인의 정체성과 세계관을 담아 전해져 내려온 이야기예요. 믿는 사람의 시선으로 보면 구원의 진리와는 다르지만, 한국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임은 분명한 것 같아요. 그리고 곰과 호랑이의 서로 다른 선택은 오늘날까지도 인내와 절제의 가치를 보여주는 이야기로 회자되고 있어요.
무엇보다 우리의 삶과 구원의 뿌리는 신화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 때, 단군신화조차도 우리의 믿음을 새롭게 확인하게 하는 배경 이야기가 될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