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gers in Korean Culture – From Myths to Modern Stories

From a mythic tiger to a smash-hit movie character

K-pop Demon Hunters seems to be everywhere these days—people can’t stop talking about it. It’s so popular that even my pastor mentioned it once during service ;) At home, my child has probably watched it more than ten times, and on car rides we end up looping “Golden” and “Sodapop.”

In my previous post, I looked at the bear and tiger in the Dangun myth. With the tiger character “Derpy” from K-pop Demon Hunters gaining so much love, I wanted to talk about tigers in Korean culture today. In the simple version of the myth, the bear endures and becomes human, while the tiger gives up and returns to the mountains. Today’s story follows how the tiger survived in the Korean imagination—taking on many forms—and became a special symbol.

Geunyeokgangsan Maenghogisangdo, a 1920s symbolic map depicting Korea in the shape of a tiger

Fierce and formidable

In premodern Korea, people called the tiger the “mountain lord,” sangun (산군), the master of the mountains. Tigers roamed our ranges commonly up through the Joseon era, so people felt fear and respect in equal measure. It’s no surprise tigers show up constantly in proverbs and folktales.

  • “You have to enter the tiger’s den to catch the tiger.” → Big things require facing fear. In today’s terms: no risk, no reward.
  • “Even when a tiger has you in its jaws, keeping your wits can save you.” → In danger, calm focus is your best chance out.
  • “In a valley without a tiger, the rabbit is king.” → When the strong are absent, the small take over.

So the tiger became a sign of power—and of fear.

Illustration of a tiger startled by dried persimmons, based on a humorous Korean folktale

Goofy and endearing

But the tiger isn’t always terrifying. In many old stories it shows up clumsy and a bit goofy.

A classic is “The Tiger Who Fears Dried Persimmons.” A mother warns her crying child, “The tiger will come,” but the baby keeps wailing—until she says, “Want some dried persimmon?” Overhearing this, the tiger panics, thinking persimmons must be scarier than he is, and runs away. It’s hilarious, and it makes the tiger feel oddly friendly.

Another favorite is “The Filial Tiger.” A devoted son, nearly eaten by a tiger, hatches a plan and calls the tiger “older brother,” claiming they were separated as children. The tiger believes him. From then on he drops off game and guards the house for the mother and son—out of “filial” loyalty. I used to read this a lot as a kid; it always warmed my heart. The tiger isn’t just a beast—sometimes he’s warm and righteous, too.

Traditional Korean minhwa painting of a tiger with a magpie, showing a humorous and friendly expression

Tigers in folk painting

Minhwa (folk paintings) often show the tiger in this softer light. In the “Tiger and Magpie” (Jakhodo) motif, the tiger isn’t a snarling predator but a wide-eyed, mischievous figure. It captures how common people feared the tiger yet also looked at it with humor and affection. It’s a picture you can’t help but feel fond of.

Maps and a national symbol

Many Koreans have seen maps likened to “a crouching tiger about to leap.” Trace the Korean Peninsula and you can make out the head, body, and forepaws ready to spring.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artwork Geunyeokgangsan Maengho Gisangdo depicted the peninsula as a giant tiger—an emblem of national spirit and the will for independence. Even on the map, the tiger came to stand for the Korean soul.

Modern illustration of a tiger decorated with Korean dancheong colors and patterns

Tigers today

The tiger keeps getting reimagined. Do you remember Hodori, the mascot of the 1988 Seoul Olympics? Later, at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Soohorang—a friendly white tiger—won hearts around the world.

More recently, the tiger character Derpy from the animated K-pop Demon Hunters has become a fan favorite. Derpy isn’t a scary beast but a modern, playful take reminiscent of the folk-painting tiger. Honestly, instead of feeling afraid, I just want to reach out and pet him. Watching Derpy, I’m reminded how familiar—and alive—the tiger still is in Korean culture.

Fierce yet familiar—our tiger

To Koreans, the tiger is more than “just an animal.” It’s a fearsome predator, a pushover who quails at a dried persimmon, a figure of filial devotion, and a guardian symbolizing national spirit.

Maybe this dual nature—frightening yet friendly—is why Koreans have loved the tiger for so long. From ancient myth to today’s pop culture characters, wrapping up this piece I can say the tiger truly—still!—breathes beside us as a special symbol.


FAQ – Learn More About Tigers

Q1. Where can I see tiger and magpie folk paintings today?
A1. You’ll find them in folk museums and art galleries, but also in modern products like stationery, wall posters, and even café interiors. The playful tiger and confident magpie have become popular beyond traditional minhwa.

Q2. Why is Korea’s map compared to a tiger?
A2. The outline of the peninsula looks like a crouching tiger about to leap. This comparison is still used in textbooks, tourism branding, and even sports slogans—symbolizing Korea’s strength and vitality.

Q3. Does the tiger have a special place in the zodiac?
A3. Yes. It’s the third of the twelve zodiac animals, often linked with courage and justice. Tiger years are thought of as times of bold beginnings, and people born in those years are seen as adventurous. In 2022—the Year of the Black Tiger—the theme appeared widely in art and media.

Q4. Can I still see tiger symbols in palaces or Korean heritage?
A4. Yes. In Joseon times, military officials wore badges embroidered with tigers or leopards as symbols of bravery. You can also spot tiger-faced roof tiles and guardian figurines on palaces and temples—meant to ward off evil. Some heritage sites and museums still display them today.
※ Hyungbae (rank badge): a square embroidered panel on the chest of Joseon officials’ robes.
※ Japsang (roof figurines): small ceramic guardian figures placed along palace or temple roofs.

👉 Next story: Coming soon – Stay tuned!


🐯 한국 문화 속 호랑이 – 신화에서 현대 이야기까지

신화 속 호랑이에서 초절정 인기 영화의 캐릭터로 나타나다

요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인기가 어마어마한 것 같아요. 여기저기서 케데헌 이야기가 끊이지 않아요. 저희 목사님도 예배시간에 한번 이야기하셨어요;) 저희 집만 해도 첫째 아이가 10번은 넘게 본 것 같아요. 차 타고 오가는 길에도 '골든'과 '소다팝'을 듣는답니다. (가끔은 다른 노래도 듣고 싶다고!)

지난 글에서 단군신화 속에 등장한 곰과 호랑이의 선택을 살펴보았었는데,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호랑이 '더피'의 인기도 높아서 오늘은 한국문화 속에 등장하는 호랑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 단순 신화 속에서 곰은 인내하여 사람이 되었지만, 호랑이는 견디지 못하고 산으로 돌아갔었죠. 오늘 이야기는 한국인의 상상과 문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살아남으며 특별한 상징이 된 호랑이의 이야기입니다.

무섭고 용맹한 호랑이

옛사람들은 호랑이를 산군(山君), 즉 산의 주인으로 불렀어요. 실제로 호랑이는 조선시대까지 우리 산에 흔히 살았던 맹수였기에, 공포와 존경이 뒤섞인 존재였지요. 속담과 옛이야기에도 호랑이는 자주 등장합니다.

  • “호랑이 굴에 들어가야 호랑이를 잡는다” → 큰일을 이루려면 두려움을 감수해야 한다는 말이죠. 요즘 말로 하면 "리스크 없이는 성과도 없다" 같은 느낌이에요.
  • “호랑이한테 물려가도 정신만 차리면 산다” → 매우 위험하고 힘든 상황에 처하더라도 정신을 차리고 침착하게 행동하면 위기를 모면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듣고 나니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는 속담이죠?
  • “호랑이 없는 골에 토끼가 왕이다” → 강한 존재가 사라지면 작은 존재가 득세한다는 비유예요. 왠지 직장이나 모임에서도 본 듯한 장면 같아요.

이처럼 호랑이는 무서운 힘과 두려움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어리숙하고 친근한 호랑이

하지만 호랑이는 언제나 무섭기만 한 존재는 아니었어요. 옛이야기 속에서는 때로 어리숙하고 우스꽝스럽게 등장하기도 했어요.

대표적인 예가 바로 "곶감을 무서워하는 호랑이" 이야기예요. 아이를 달래던 어머니가 “호랑이가 온다” 해도 울음을 멈추지 않던 아기가, “곶감 줄까?”라는 말에는 뚝 그치자 옆에서 듣던 호랑이는 곶감이 자기보다 더 무서운 줄 알고 겁을 먹어 도망갔다는 이야기예요. 웃기죠? 두렵고 위엄 있는 호랑이가 허당 같은 모습을 보이니 친근하게 느껴지는 전래동화예요.

또 다른 이야기 "효심 있는 호랑이" 전래동화에서는 호랑이에게 잡아먹힐 뻔한 효심 깊은 아들이 지혜를 짜내는 이야기가 있어요. 아들은 자기를 잡아먹으려는 호랑이에게 형님이라고 부르며, 본인이 어릴 적 헤어진 형제라고 속입니다. 호랑이는 그 말에 속아 넘어가요. 그 이후 홀어머니와 아들을 위해 때마다 사냥을 해다 놓고, 집을 지켜주며 효로 섬겼다는 내용이에요. 그저 위험한 동물인 줄만 알았는데 마음이 몽글몽글해지는 이야기라 어렸을 때 자주 읽었던 기억이 있어요.

민화 속 호랑이

민화 속 호랑이도 역시 다른 이미지예요. 특히 까치호랑이(작호도) 그림에서 나타난 호랑이는 으르렁대는 맹수가 아니에요. 눈이 크고 익살스러운 표정으로 묘사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모습은 백성들이 호랑이를 두려워하면서도 동시에 친근하게 바라본 시선을 잘 보여줘요. 정감이 느껴지는 그림이에요.

지도와 민족의 상징

한국인들은 “호랑이가 엎드려 도약하려는 형상”을 닮은 지도를 한 번쯤은 봤을 거예요. 한반도의 윤곽을 따라가면 머리와 몸통, 앞발이 드러나 호랑이가 힘차게 도약할 듯 보입니다. 일제강점기에 등장한 〈근역강산 맹호기상도〉라는 그림은 한반도를 거대한 호랑이로 표현해서, 억압받던 시대에 민족의 기상과 독립 의지를 담아낸 상징적인 작품이었어요. 이처럼 호랑이는 지도 속에서도 우리 민족의 정신을 대변하는 존재였습니다.

현대 속 호랑이

오늘날 호랑이는 여전히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고 있어요. 1988년 서울 올림픽의 마스코트 호돌이를 기억하시는 분이 계실까요? 그 뒤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마스코트 수호랑이 등장했었는데, 흰 호랑이를 친근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담아내서 많은 사람들이 좋아했어요.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호랑이 캐릭터 더피(Derpy)가 큰 사랑을 받고 있죠. 더피는 무서운 동물 호랑이가 아니라, 민화 속 까치호랑이처럼 익살스럽고 친근한 매력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캐릭터 같아요. 무섭다는 느낌보다는 한 번 만지고 싶다는 생각이 먼저 들더라구요. 더피를 보면서 ‘호랑이가 정말 익숙한 존재구나, 여전히 한국 문화 속에서 살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무섭지만 친근한 우리의 호랑이

호랑이는 한국인에게 그저 동물의 한 종류가 아닌 듯해요. 무서운 맹수이면서도, 곶감 하나에도 겁먹는 허당이고, 효심 깊은 존재로 그려지기도 하며, 민족의 기상을 상징하는 수호자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무섭고도 친근한 양면성이야말로 한국인이 호랑이를 오랫동안 사랑해온 이유가 아닐까요? 과거 신화에서부터 오늘의 문화 속 캐릭터까지, 오늘 이야기를 정리하며 보니 새삼 호랑이는 정말! 여전히! 우리 곁에서 살아 숨 쉬는 특별한 상징이라고 말할 수 있네요.


FAQ – 한국 문화 속 호랑이 더 알아보기

Q1. 까치호랑이 민화를 오늘날 어디에서 볼 수 있나요?
A1. 민속박물관이나 미술 전시회에서 볼 수 있고, 요즘은 문구류·포스터·카페 인테리어 같은 현대 제품에도 많이 쓰여요. 익살스러운 호랑이와 당당한 까치는 전통을 넘어 현대 문화 속에서도 친근한 상징이 되었어요.

Q2. 왜 한국 지도를 호랑이에 비유하나요?
A2. 한반도의 윤곽이 몸을 움츠리고 도약하려는 호랑이 모습과 닮았기 때문이에요. 지금도 교과서, 관광 홍보, 스포츠 구호 등에서 이 이미지가 쓰이며 한국의 힘과 활력을 상징하고 있어요.

Q3. 호랑이는 십이간지에서 어떤 의미가 있나요?
A3. 호랑이는 열두 띠 중 세 번째 동물로, 용기와 정의의 상징이에요. 호랑이 해는 대담한 시작을 뜻한다고 여겨지고, 호랑이띠 사람은 모험적이고 씩씩하다고 봅니다. 특히 2022년 ‘검은 호랑이의 해’에는 문화 콘텐츠 전반에서 호랑이 이미지가 크게 주목받았어요.

Q4. 궁궐이나 문화유산에서 호랑이 문양을 볼 수 있나요?
A4. 네. 조선시대에는 무관의 관복 흉배에 호랑이나 표범 무늬가 수놓여 용맹을 상징했어요. 또 궁궐·사찰 지붕의 기와나 잡상 장식에도 호랑이 얼굴 무늬가 새겨져 잡귀를 막는 의미가 있었죠. 지금도 일부 유적지나 박물관에서 이런 장식을 볼 수 있어요.
※ 흉배: 조선시대 관리들의 관복 가슴 부분에 달린 네모난 자수.
※ 잡상: 궁궐이나 절 지붕 위에 올려진 작은 토우(도자기 인형) 장식.

👉 다음 이야기: 공개 예정 – 곧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