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gers in Korean Culture – From Myths to Modern Stories

이미지
From a mythic tiger to a smash-hit movie character K-pop Demon Hunters seems to be everywhere these days—people can’t stop talking about it. It’s so popular that even my pastor mentioned it once during service ;) At home, my child has probably watched it more than ten times, and on car rides we end up looping “Golden” and “Sodapop.” In my previous post, I looked at the bear and tiger in the Dangun myth. With the tiger character “Derpy” from K-pop Demon Hunters gaining so much love, I wanted to talk about tigers in Korean culture today. In the simple version of the myth, the bear endures and becomes human, while the tiger gives up and returns to the mountains. Today’s story follows how the tiger survived in the Korean imagination—taking on many forms—and became a special symbol. Fierce and formidable In premodern Korea, people called the tiger the “mountain lord,” sangun (산군), the master of the mountains. Tigers roamed our ranges commonly up through the Joseon era, so people...

God Saw Leah – The Rivalry Between Sisters in Love and Childbirth [Genesis 29–30]

Jacob falls in love with Rachel, but ends up marrying her sister Leah through deceit. What follows is a long struggle for love, identity, and children. In this deep rivalry, God sees the overlooked and remembers the forgotten.

The God Who Comes First to the Unloved – The Story of Leah and Rachel

Leah sits gently with her children, holding a baby in her arms, while Rachel stands alone in the background watching – A scene from Genesis 29–30 that shows the emotional contrast between the two sisters / 레아가 아이들을 곁에 두고 아기를 안고 있는 가운데, 라헬은 멀리서 혼자 바라보는 모습 – 창세기 29–30장의 자매 간 감정의 대비를 보여주는 장면

After leaving his father’s house, Jacob arrives at his uncle Laban’s home and begins a new chapter. There, he meets Rachel and falls in love with her. Jacob agrees to work for seven years to marry her. "Jacob loved Rachel more." [29:30] The seven years felt like days to him because of his love.

But on the wedding night, Laban sends Leah instead of Rachel. Jacob is deceived and realizes it only the next morning. When he confronts Laban, the custom of marrying the older daughter first is used as an excuse. Jacob then agrees to work seven more years to marry Rachel.

Though Jacob loved Rachel, Leah was not loved. "When the Lord saw that Leah was not loved, he opened her womb, but Rachel was barren." [29:31] Leah begins to bear children. When she gives birth to her first son, Reuben, she says, "It is because the Lord has seen my misery. Surely my husband will love me now." [29:32] She then gives birth to Simeon, Levi, and Judah, but Jacob’s love still does not return.

Rachel, unable to bear children, pleads with Jacob, "Give me children, or I’ll die!" [30:1] Jacob responds in anger, "Am I in the place of God, who has kept you from having children?" [30:2] Rachel gives her maidservant Bilhah to Jacob, and Leah responds by giving her maid Zilpah. Both women continue to bear children through these arrangements. "I have had a great struggle with my sister, and I have won." [30:8]

The rivalry between the sisters was relentless. Leah bears six sons and a daughter, while Rachel remains barren for many years.

Then, "God remembered Rachel; he listened to her and enabled her to conceive." [30:22] She gives birth to Joseph and says, "God has taken away my disgrace." [30:23]

Meditation – God’s Response to the Forgotten and the Waiting

1. The God Who Sees the Unloved

Leah was not chosen. Not for her beauty, not by her husband’s heart. She hoped each child would bring her love, "Now my husband will love me." [29:32] Yet love did not come. But God saw her first. Before she even cried out, He opened her womb. When others ignored her, God moved toward her. Today, there are still many “Leahs” – people unseen, unchosen, undervalued. But God sees. He values what others overlook. Leah’s life was not in vain. God comforted her, child by child, and her story stands as a testimony of His compassion.

2. A God Who Works Even in Human Struggle

The rivalry between Leah and Rachel was more than a competition – it was tangled with longing, jealousy, and disappointment. They used their maids, negotiated with mandrakes, and struggled for their husband’s attention. Yet even in this brokenness, God was not absent. The names of their sons reveal cries for help, moments of triumph, and prayers of hope. God didn’t reject their confusion. Instead, He worked through it. Leah bore Judah, Rachel bore Joseph—two names that would shape Israel’s future. God works not only in clean lines but also in complicated stories.

3. The God Who Remembers the Waiting

Rachel was deeply loved, but she remained childless. Her cry was desperate, "Give me children, or I’ll die." [30:1] She tried everything: giving her maid, seeking mandrakes, watching her sister’s growing family. Still, she waited. Then the Scripture says, "God remembered Rachel." [30:22] He had not forgotten. After silence, He answered. She named her son Joseph and said, "God has taken away my disgrace." In our waiting, we often wonder if we’ve been overlooked. But God remembers. His remembrance is not passive. God’s remembrance moves us again—and when the time comes, it turns into His answer.

▶ Next: Jacob Flees from Laban – Conflict and Covenant in Genesis 31


하나님은 레아를 보셨다 – 사랑과 출산 속 자매의 경쟁

[창세기 29–30장]

야곱은 라헬을 사랑했지만, 속임수로 레아와 먼저 결혼하게 됩니다. 두 자매는 한 남자의 아내가 되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자녀를 낳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그 복잡한 감정 속에서도 하나님은 사랑받지 못한 자를 보시고, 기다리는 자를 기억하십니다.

사랑받지 못한 이에게 먼저 다가오신 하나님 – 레아와 라헬 이야기

이삭의 집을 떠난 야곱은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라반의 딸 라헬을 처음 보았고, 그녀를 사랑하게 됩니다. 야곱은 라헬과 결혼하기 위해 외삼촌을 7년 동안 섬기기로 약속합니다. “야곱이 라헬을 더 사랑하므로” [29:30] 그 사랑은 깊었고, 야곱에게 7년은 하루같이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결혼 첫날 밤, 라반은 라헬 대신 언니 레아를 야곱에게 보냅니다. 야곱은 속았다는 것을 다음 날에야 깨닫고 라반을 따져 묻지만, 라반은 형보다 동생을 먼저 출가시키지 않는 지방 관습을 이유로 댑니다. 야곱은 결국 라헬도 아내로 맞기 위해 또 7년을 더 섬기게 됩니다.

야곱은 라헬을 사랑했지만, 레아는 사랑받지 못했습니다. “여호와께서 레아가 사랑받지 못함을 보시고 그의 태를 여셨으나 라헬은 자녀가 없었더라” [29:31] 하나님은 레아의 상황을 보셨고, 그녀는 자녀를 낳기 시작합니다.

레아는 첫째 르우벤을 낳으며 말합니다. “여호와께서 나의 괴로움을 돌보셨으니 이제는 내 남편이 나를 사랑하리로다” [29:32] 이후에도 시므온, 레위, 유다를 낳습니다. 그러나 야곱의 사랑이 돌아왔다는 말은 나오지 않습니다.

라헬은 자녀가 없는 상황을 견디기 어려워하며 야곱에게 말합니다. “내게 자식을 낳게 하라 그렇지 아니하면 내가 죽겠노라” [30:1] 야곱은 분노하며 대답합니다. “그대에게 임신하지 못하게 하시는 이는 하나님이시니 내가 하나님을 대신하겠느냐” [30:2]

라헬은 여종 빌하를 야곱에게 주어 대신 아이를 얻게 하고, 레아도 여종 실바를 내어줍니다. 두 여인은 계속해서 자녀를 낳기 위해 힘썼고, 이름에는 경쟁과 소망의 흔적이 담깁니다. “내가 언니와 크게 경쟁하여 이겼도다” [30:8]

두 여인의 출산 경쟁은 끝이 없었습니다. 레아는 여섯 아들과 딸 디나까지 낳게 되었고, 라헬은 여전히 자녀를 기다리며 세월을 보냅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하나님이 라헬을 생각하신지라… 그로 태를 여시매 그가 아들을 낳고 이름을 요셉이라 하니” [30:22–24] 라헬은 말합니다. “하나님이 나의 부끄러움을 씻으셨다” [30:23]

묵상 – 사랑받지 못한 이들과 기다리는 이들을 위한 하나님의 응답

1. 사랑받지 못한 여인, 그러나 보시는 하나님

레아는 선택받지 못한 여인이었습니다. 외모로, 순서로, 마음으로… 그녀는 늘 뒤에 있었습니다. 남편의 사랑은 그녀의 몫이 아니었고, 그녀는 자녀를 통해 그 사랑을 얻고자 했습니다. “이제는 내 남편이 나를 사랑하리로다” [29:32] 하지만 사랑은 돌아오지 않았고, 그때 하나님이 그녀를 보셨습니다. 그녀가 울부짖기도 전에, 하나님은 먼저 다가오셨고, 그녀의 태를 여셨습니다. 사람에게 거절당한 마음, 누구에게도 설명할 수 없는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은 레아를 외면하지 않으셨습니다.

이 땅에는 오늘도 ‘레아들’이 있습니다. 가정에서, 관계에서, 일터에서…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이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을 가장 먼저 찾으십니다.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여호와는 중심을 보시느니라. 레아의 삶은 사람에게는 외면당했지만, 하나님께는 깊이 쓰임받은 인생이었습니다. 그 외로운 걸음마다 하나님은 자녀를 통해 위로하셨고, 그녀의 삶은 결코 헛되지 않았습니다.

2. 복잡한 경쟁 속에서도 일하시는 하나님

레아와 라헬의 출산 경쟁은 단순한 자녀 다툼이 아니었습니다. 사랑과 인정, 열등감과 질투, 책임과 체념이 얽힌 현실이었습니다. 여종을 통해 아이를 낳게 하고, 합환채를 두고 거래하며 한 남자의 시선을 얻기 위해 치열하게 살아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런 복잡한 인간의 감정과 방식 속에서도 하나님은 각자의 마음을 아셨고, 그 안에서 일하고 계셨습니다.

이름 하나하나에 담긴 이야기를 보면, 그 안에는 하나님을 향한 부르짖음이 있고,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고 싶은 절절한 고백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런 연약함을 정죄하지 않으시고, 그 안에서 하나님의 길을 여십니다. 레아는 유다를 낳았고, 라헬은 요셉을 낳았습니다. 이 두 아들은 훗날 이스라엘의 구속사에 결정적인 인물이 됩니다.

하나님은 인간의 단순함 안에서만 일하지 않으십니다. 복잡하고 아프고, 엉켜 있는 그곳에서도 하나님은 정확하게, 선하게 일하십니다.

3. 기다림 끝에 기억하신 하나님

라헬은 사랑받는 여인이었습니다. 그러나 아이가 없다는 사실은 그녀에게 큰 수치와 고통이 되었습니다. “내게 자식을 낳게 하라, 그렇지 아니하면 내가 죽겠노라” [30:1] 절망의 끝에서, 그녀는 여종을 앞세우고, 합환채를 구하며 끝내 자녀를 얻고자 애를 씁니다. 하지만 자녀는 쉽게 허락되지 않았고, 그 시간은 계속해서 흘러갔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하나님이 라헬을 생각하신지라” [30:22] 하나님은 그녀를 잊지 않으셨습니다. 오랜 침묵 끝에 응답하셨고, 그녀는 요셉을 낳으며 말합니다. “하나님이 나의 부끄러움을 씻으셨다” [30:23]

우리도 때로 라헬처럼 기다립니다. 다른 사람은 이미 응답을 받은 것 같고, 나는 여전히 빈손 같을 때, 하나님은 우리를 잊으신 게 아닙니다. 그분은 기억하고 계셨고, 그 기억은 때가 되면, 반드시 응답으로 나타납니다.

▶ 다음 묵상: 야곱의 도망과 라반의 추격 – 창세기 31장 갈등과 계약의 돌무더기